안녕하세요. 오늘은 제가 git을 쓸 때 자주 사용하는 기능인 stash에 대해 정리해보는 시간을 가져보겠습니다. git stash로 구글링을 해보았을 때, 오로지 기본 기능에 대한 설명이 있는 글만 찾게 되었던 경험이 있어서, 제가 자주 사용하는 이유와 사용법에 대해 정리하고 추가적인 부분을 소개해드려보면 좋을 것 같아 글을 쓰게 되었습니다. stash?? 먼저 stash는 구글 번역기로 번역을 해보았을 때, 숨기는 장소(명사), 몰래 챙겨두다(동사)로 찾아볼 수 있는데요, 말 그대로 저는 stash를 stash에 담아둔다, stash를 사용한다 라고 자주 말 하는 것 같네요. origin의 내용을 tracking 하고 있는 상태이거나(modifed), staged(staging area로 이동된 상태..
안녕하세요. 오늘은 github에서 Access token을 만들어서 적용해보겠습니다. 갑자기 웬 깃헙..? 액세스 토큰..? 이라고 할 수 있지만 오늘 새로운 레포를 만들고, 로컬에서 어떤 간단한 작업을 한 후, 새로 만든 원격 Repo에 push를 하려 했으나! 깃을 새로운 컴퓨터에서 접속하거나, 비밀번호를 바꿨거나, 사용자 이름을 바꾸었을 때 볼 수 있었던 403 error를 만났습니다.(http 상태 코드 403은 인증 관련 에러입니다.) 이걸 보고 한가지 기억이 떠올랐습니다. 전에 깃헙에서 메일이 왔었는디..? 솰라솰라.. 해당 주소로 들어가 보니, 이번 7월부터는 깃헙을 사용할 때 비밀번호로 인증하던 것을 액세스 토큰을 만들어 사용해라.라는 이슈가 있었네요! 이제는 더 이상 미룰 수 없을 것 ..
- Total
- Today
- Yesterday
- Layer3
- Network
- AutoBulid
- compiler.automake.allow.when.app.running not found
- git stash 활용
- 인텔리제이 환경설정
- IntelliJ 주석
- Community Cloud
- 특정 목록 stash
- AutoCompile
- stash only staged
- EC2+Mysql
- host network
- 클라우드
- git stash only staged
- 특정 파일 stash
- live load
- Host is not allowed to connect to this MySQL server".
- 주니어 개발자
- stash -keep-index
- IntelliJ 단축키 충돌
- Layer2
- git version
- compiler.automake.alllow.when.app.running
- git stash push
- IntelliJ2021
- mac 키보드 단축키
- Convergence time
- git 403
- IntelliJ 설정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